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35

Spring Service Spring Service · 시스템의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계층 · SNS 시스템의 경우 - 이미지, 글 등의 컨텐츠 정보를 저장 -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컨텐츠를 추천 - 회원가입, 로그인, 회원 탈퇴 등의 회원 관련 처리 · view의 종류와 database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계층 -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 해야 함 Service의 구현 · 클래스에 @Service Annotation 사용 · 파라미터로 전달 된 데이터들의 검증 작업 수행 · Repository 계층을 활용하여 database에 접근 - Service 계층의 단일 메소드가 transaction의 단위가 됨 ·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영역(User, Post, ..) 별로 클래스를 생성하여 구현 · 인터페이스의 .. 2024. 3. 21.
REST API 문서의 활용 API 문서화 · API는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방법/약속 ·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 방법을 알아야 함 · API 문서는 API를 사용하는 방법을 명세한 문서 REST API 문서화 · 프론트엔드에서 호출 하기 위한 REST API의 정보가 명세 된 문서 - 백엔드 개발자 주도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함께 설계 -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약속된 REST API 문서에 의존하여 프론트엔드를 개발 · 프론트엔드 등 Client에서 호출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상세하게 작성 되어야함 REST API 문서가 담고 있어야 하는 정보 · REST API 설명 · URI · HTTP Method · Request 파라미터 (필수 파라미터와 선택 파라미터) · Response 데이터 (필수 응답 데이터와 .. 2024. 3. 20.
HTTP Method RequestBody 실습 PostController 클래스 생성 package com.eom.controllerexercise.controller; 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questMapping; 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tController; import static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questMethod.*; @RestController @RequestMapping(value = "/post") public class PostController { @RequestMapping(method = GET) public String getPost().. 2024. 3. 20.
RequestBody Request Body ·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수정하는 POST, PUT Method에서 사용 됨 - GET, DELETE는 Query String, Path Param이 주로 사용 · Request Body에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 전송 가능 - JSON 데이터 형식이 주로 사용 됨 · Client에서는 JSON 데이터를 전송하고, Spring에서는 JSON 데이터를 Java 객체 파라미터로 저장 · Postman에서 JSON 데이터를 Request Body로 전송 2024. 3. 2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