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esentation Layer - @Controller
Client로부터 요청을 받아 Application Layer에 처리를 위임
Application Layer의 결과를 최종 Client로 전달
Application Layer - @Service
특정 목적을 위한 다양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
Data Access Layer - @Repository
DB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 하는 역할
Controller 코드
· Spring Controller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3개의 기본 Annotation이 사용됨
· @Controller와 @RestController
- Controller 역할을 하는 클래스를 지정, 클래스 상단에 명시
· @RequestMapping
- 특정 Request를 처리하는 메소드를 지정, 클래스 또는 메소드 상단에 명시
Annotation이란 ?
· Java 소스코드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
· @으로 시작하며 클래스, 메소드, 멤버변수, 파라미터 등에 부착 가능
· 3가지 유형의 Annotation
- 자바 컴파일러에게 정보를 제공 (에러 등을 찾아내기 위해)
- SW 툴에 의해 사용되어 코드 생성이나 추가 작업을 진행
- run-time 시 특정 동작을 추가적으로 실행
@Controller vs @RestController
· 대부분의 동작은 유사
-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고 응답을 한다
· 응답하는 형태가 다름
- Controller : view를 응답 (html 파일 등)
- RestController : data를 응답 (문자열, Json, xml 등)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questMapping과 URI 실습 (0) | 2024.03.19 |
---|---|
@Controller @RestController 차이 (0) | 2024.03.19 |
Spring Boot 실행 해보기 (0) | 2024.03.18 |
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(0) | 2024.03.18 |
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(0) | 2024.03.18 |